본문 바로가기

잡다한 내용/시사 및 이슈15

(이슈) 삼성전자, 테슬라에 자율주행차용 반도체 공급! 2016. 12. 9(금) 오늘 한국경제 신문에서 "삼성전자, 테슬라에 자율주행차용 반도체 공급"이라는 기사를 보았다. 3일 연속 한국경제 신문만 스크랩하는데 경제신문 중에서 한국경제신문이 읽기 편한것같다. 기사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테슬라와 주문형 반도체(ASIC) 파운드리 계약을 맺은 것으로 전해졌다. 주문형 반도체는 무엇일까?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란 특정 용도의 반도체를 의미 하지만 그 개념은 명확하지 않다. 다만 고객의 요구대로 특수한 기능의 회로를 설계해 생산하는 특정 용도의 제품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양복에도 기성복과 맞춤복이 있듯이 반도체에도 그 구분이 있다고 생각하면 쉽다. (출처 : 매일경제(용어는 매일경제에서 찾는 센스, 2016. 12. 9.
(이슈) 한국 제조업 전망에 관하여 2016. 12. 8(목) 오늘 한국경제에서 "무너지는 제조업 현장…숙련 기술인력 떠난다."는 기사를 보았다. 앞으로 내가 취업할 분야가 제조업(자동차, 반도체 등)분야이기 때문에 관심이 많이갔다. 기사 내용은 제조업 현업에 있는 숙련 기술인력들이 중국으로 빠져나간다는 내용이다. 자동차, 철강, 조선, 반도체 등 전문가들이 많이 빠져나가며 기술 유출의 문제도 우려되고 있다고 한다. 산업기술진흥원 관계자는 "기술인력 이탈현상은 기업이 경기 둔화에도 고용을 줄이지 않던 기업들이 한계상황에 처했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기업의 상황과 고용현황이 아다리가 맞지 않은 모양이다. 기업도 취준생도 힘든 사회인 것같다.) 인력 유출이 심각하다 보니 현장 기술 인력 부족을 느끼는 기업이 많다고 한다. 느낀점 한국은 O.. 2016. 12. 8.
(이슈) 중국의 반도체 시장/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 2016. 12. 07일 오늘 한국 경제에서 'Mr. 반도체'의 경고…"중국이 두렵다" 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았다. 위의 그림 클릭 시 기사 원문으로 이동!(출처 : 한국경제) 기사 내용을 보면 중국은 반도체 산업을 키우기 위해 국가적으로 엄청난 투자를 한다고 한다. 반도체설계업체인 팹리스 업체 인수부터 생산하는 공장까지 인수를 엄청한다. 그래서 현재 설계 전문업체(팹리스) 상위 50개사 중 17개가 중화권 기업인데 한국 기업은 하나밖에 없고, 제조전문회사(파운드리) 상위 10개사 중 6개는 중화권 기업이라고 한다. 또한 기사에 나오시는 김기남 사장은 반도체 교육을 중요시했고 포기하지 않는 엔지니어로서의 마음가짐을 중요시 했다. * 팹리스 : 반도체를 설계만 하는 회사 * 파운드리 : 반도체 제조만 하는.. 2016. 1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