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heory(이론)/Hardware, 전자회로3

1. 전기 전자회로의 기본 개념(테브닌, 노튼까지) 전기, 전자회로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자. ● 전자회로의 정의 위 사진은 네이버에서 검색했을 때 나오는 정의이다. ● 전기회로와 전자회로의 차이점은? - 전기회로 : 큰 전류가 흐르는 회로 - 전자회로 : 작은 전류가 흐르는 회로 ●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 - 아날로그 : 연속성을 가진 신호 - 디지철 : 0과 1의 형태로 컴퓨터 기억장치에 저장되는 데이터 같은 이산적인 신호 * 왜 디지털을 사용할까 : 1. 잡음에 강하다. 2. 신호처리가 쉽다! ● 수동소자(Passive Device)와 능동소자(Active Device) - 수동소자 : 동작을 위해 전기적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소자 (저항, Capacitor, Inductor) - 능동소자 : 동작시키기 위해 전기적 에너지를 사용하는 소자 .. 2022. 9. 3.
3. 저항(R), 인덕터(L), 커패시터(C)의 이해 오늘은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에 대해 알아 보았다. 1. 저항(Resistor) ● 저항(Resistor)은 왜 필요할까? -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적당하게 제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부품이다. - 옴의 법칙에 따라서 일정한 전압이 걸렸을 때 적당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저항 값을 선택하면 된다. ● 저항 전력(Power) 소모 - 저항에 전류가 흐르면 전력 소모가 발생 -> 소모된 에너지는 열(heat)의 형태로 방출 - 정격 전력 : 저항이 파손되지 않는 최대 전력 (예 : 1/2W, 1W, 2W 등) * 저항의 정격 전력 규격은 주로 저항 패키지의 외관(모양이나 크기, 재료 등)에 의해 결정된다. * 실제 회로에서는 일반적으로 필요한 전력보다 2배 정도 큰 정격 전력을 가지는 저항을 사용한다. * 저.. 2022. 8. 26.
2. 키르히호프의 법칙(Kirchhoff's Circuit Laws) 오늘은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복습해보자. ● Kirchhoff's Voltage Law(KVL) 임의의 회로망의 폐회로(Closed-loop)에 있어 각 부품에 걸리는 전압을 일정방향으로 합쳐 나가면 그 총합은 '0'이된다. - Loop란? * 전압을 제대로 계산하기 위해 수동소자 규정을 지켜가며 계산을 해야한다. * 계산 연습은 따로 하지 않겠다. 정리할 것이 태산인데 지금 시간이 없다. ● Kirchhoff's Current Law(KVL) 임의의 회로망에 있어 어떤 회로망의 접속 점(Node)에 들어오는 전류의 합은 나가는 전류의 합과 같다. - Node(노드란?) : 접점 ● 중첩의 원리(Superposition Theorem) - 입력이 A가 되는 경우 출력이 C, 입력이 B가 되는 경우 출력이 .. 2016. 1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