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 2025. 4. 8. 23:35

계룡건설 주가 전망, 상승 분석, 기업 개요 + 주가 급등의 배경은?

2025년 4월 8일 기준, 계룡건설(013580)의 주가는 전일 대비 29.75% 상승한 20,5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는 코스피 시장에서 당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이다. 계룡건설의 주가 급등 배경과 기업 현황을 함께 살펴보자.

계룡건설
계룡건설

---

반응형

1. 기업개요

1-1) 어떤 기업인가

계룡건설은 1978년에 설립된 종합 건설회사로, 건축, 토목, 분양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회사로는 계룡산업, 케이알유통, 케이알산업, 케이알스포츠, 케이알디앤디 등이 있다. 특히, 주택 분야에서 '리슈빌' 브랜드를 통해 아파트 건설에 주력하고 있으며, 국내 건설업계에서 중견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1-2) 홈페이지 링크

계룡건설 홈페이지
계룡건설 홈페이지

계룡건설의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진행 중인 주요 프로젝트, 연간 실적자료, 분양 일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투자 전에 기업의 실제 사업 내용을 직접 확인해보자.

최근 좋은 위치에 건물을 많이 짓는다.

 

---

2. 주요 재무 지표 및 투자 지표

항목 2023년 2024년 2025년
매출액 (억원) 29,497 29,770 31,694
영업이익 (억원) 1,200 1,300 1,400
당기순이익 (억원) 900 1,000 1,100
주가수익비율(PER) 5.5배 - -
주가순자산비율(PBR) 0.8배 - -
자기자본이익률(ROE) 14.5% - -

 

---

3. 최근 뉴스

  • [동아일보] 이재명 "세종 대통령실 검토" 발언에 52주 신고가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공약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세종시 기반 건설사인 계룡건설에 직접적인 수혜 기대감이 부각되었다.
    ▶ 의견: 정치 테마의 직접 수혜주로 분류되며 단기적인 기대감이 반영된 사례. 정책 실현 가능성에 따라 향후 주가 흐름이 좌우될 가능성 높음.
    기사 전체 보기
  • [서울경제] 계룡건설 상한가 진입… +29.75% ↑
    시장에서는 정치적 수혜 기대감 외에도 계룡건설의 낮은 PER, 우수한 실적 등 펀더멘털 요인이 주목받기 시작했다는 평가.
    ▶ 의견: 단순 테마가 아니라 저평가된 가치주의 재발견 가능성도 함께 고려해야 함.
    기사 전체 보기
  • [머니투데이] 세종 이전 기대감에 계룡건설 상한가
    정치 테마 외에도 세종시 개발 확대에 따른 수주 증가 가능성이 주가 급등의 핵심 요인으로 작용.
    ▶ 의견: 수주 실적 및 정부 주도 개발 프로젝트의 중장기 지속성을 판단할 필요 있음.
    기사 전체 보기

🔍 더 깊이 알아보자
계룡건설의 주요 수주 프로젝트와 정책 수혜 가능성, 그리고 투자 시 체크포인트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려면 공시자료와 IR 자료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다.

 

---

4. 분석 및 시사점

계룡건설의 주가는 최근 정치적 이슈와 관련하여 급등하였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이 대통령실의 세종 이전 및 행정수도 완전 이전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세종시 관련 건설사인 계룡건설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계룡건설은 세종시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주택 및 토목 공사를 진행한 바 있으며, 실제로 본사가 대전에 위치해 있어 지역 개발 수혜주로도 분류된다. 따라서 정치권에서의 '행정수도 이전' 언급은 계룡건설에 직접적인 수혜 기대감을 불러일으킨다.

재무적으로도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PER 5.5배, PBR 0.8배 수준은 동종 업종 평균 대비 저평가된 것으로 평가되며, ROE 역시 14% 중반대를 기록하며 수익성도 우수하다. 이러한 재무 안정성에 정치 테마 이슈가 겹치면서 시장의 매수세가 집중된 것이다.

투자 시 유의사항
이번 급등은 정치적 이슈에서 촉발된 일시적인 수급 급증에 따른 결과이므로, 실제 정책 추진 속도 및 방향성을 냉정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테마주 특성상 급등 이후 급락하는 사례가 빈번하므로,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필수적이다. 단기 트레이딩보다는 중장기 실적 및 공공 발주 증가와 같은 펀더멘털 요인에 집중해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전 포인트

  • 세종 행정수도 이전 관련 정부 정책의 실현 여부
  • 공공 주택 및 인프라 발주 증가 전망
  • 계룡건설의 수주 잔고와 프로젝트 진행 상황
  • 건설 경기 회복 여부 및 원자재 가격 안정성

결론적으로, 계룡건설은 저평가 우량 건설주로 분류되며, 정치 이슈로 인한 단기 급등을 계기로 다시 한 번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다만, 단기적 테마 이슈에 편승하기보다는 중장기적 성장성과 수익성 관점에서 기업을 분석하고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