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KT, LGU+ 이렇게 3대 이동통신사도 이제 esim요금제를 운영을 한다.
esim 제도는 2022년 9월부터 서비스가 시작이 되었다.
esim 제도란 간단히 말해서 한개에 폰에 2가지 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제도이다.
가장 발빠르게 움직인건 알뜰폰 통신사들이었는데
이제 이동통신3사도 요금제가 나오기 시작했다.
esim을 원하는 나의 마음을 알아서 일까?
2023년 차차 요금제들이 나오기 시작한다.
3대 이동통신사의 esim 요금제를 알아보자
1. LGU+(유플러스) eSIM 요금제
2. KT eSIM 요금제
3. SKT(Tword) eSIM 요금제
1. LGU+ (유플러스) eSIM 요금제
LGU+ 에서 5G 듀얼넘버 플러스라는 요금제가 나왔다.
유심과 eSIM을 동시에 사용하여 하나의 휴대폰에 두 개의 번호를 이용하는 서비스 이다.
요금은 8,800원 이다.
5G만 eSIM 요금제를 찾아왔지만,
LTE도 esim 요금제가 똑같이 있었고 가격도 8,800원으로 같다.
이미 5G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는 핸드폰과 같이 사용한다.
5G요금제를 쉐어링 한다.(데이터 나눠쓰기)
번호만 새로 할당을 받아서 쓰는 개념이다.
esim 요금제의 기본 제공 데이터가 있긴있다.
250MB인데 모두 소진할 경우, 기존 대표 요금제와 데이터를 나눠 쓴다.
음성과 문자 역시 대표 요금제(기본 요금제)의 월 제공량을 함께 사용한다.
월 8,800원 씩 지출하고, 데이터 조금과 새로운 번호를 부여받는 개념이다.
번호가 2개이니 물론 카카오톡도 듀얼로 사용이 가능하다.
2. KT eSIM 요금제
KT가 가장먼저 esim요금제를 출시했다.
9월부터 ‘업무용+개인용’ 폰하나, 두번호…KT 월 8800원 : IT : 경제 : 뉴스 : 한겨레 (hani.co.kr)
KT에서 듀얼번호라고 출시를 하고, eSIM 요금제도 출시를 했다.
LGU+에서는 "듀얼넘버" 라고 요금제를 출시 하고 ,
KT는 "듀얼번호"라고 요금제를 출시하였다. (영어와 한국어 차이)
그냥 "듀얼번호"는 esim요금제를 이용해 사용하는 듀얼심 요금제이다.
"듀얼번호 lite"는 요금제가 아니라 부가서비스 이다.
(그래서 요금제 창이 아닌 부가서비스 쪽으로 가야 있음)
듀얼번호 lite는 esim 기종이 아니어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라고 한다.
2-1) KT 듀얼번호 요금제
듀얼번호 요금제는 8,800원이다. (요금제 링크는 아래와 같다.)
요금제 위치 : KT홈페이지 -> 상품 -> 모바일 -> 요금제 -> 듀얼심/스마트기기
상세 요금제
기본 데이터의 경우 LGU+ 보다 많다.
LGU+는 250MB 였는데 KT는 1GB를 기본으로 제공해 준다.
물론 둘다 데이터를 모두 사용하면 기본 요금제에서 듀얼로 사용한다.
음성 및 문자는 LGU+와 마찬가지로 메인 요금제에 월 제공량을 공유한다.
2-2) KT 듀얼번호 Lite 요금제(부가서비스)
듀얼번호 lite는 3,300원이다.
부가서비스 상세내용
듀얼번호 Lite는 esim이 아닌 단말기도 사용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 이다.
단지 두번째 번호를 이용할 시에는
통화/문자 는 "77+ 상대방 번호" 이런식으로 보내야 한다.(살짝 번거로움)
카카오톡이나 메신저도 따로 이용은 가능하다.
esim이 아닌 기종도 되니 좋은 제도인것 같다.
KT 듀얼번호 Lite 요금제 링크는 아래와 같다.
요금제 위치 : KT 홈페이지 -> 상품 -> 모바일 -> 부가서비스 -> 통화편의
3. SKT 통신사 eSIM 요금제
SKT는 아직 esim요금제를 운영하지 않는 것 같다.
해외 여행객 상대로 국내 esim 제품을 제공하긴 하지만
국내에서 정식적으로 요금제가 있지는 않다. (로밍 서비스에 있음)
물론 국내 거주자도 esim 요금제를 구매해서 사용하면 되겠지만
요금제가 하루, 1주일, 한달 이런식이여서 가성비가 없다.
여행자에 맞춰져 있는 요금제 이다.
SKT와 같이 운영하는 SK텔레콤 다이렉트샵 알뜰폰 요금제는 운영을 한다.
사실 보통 알뜰폰 요금제는 KT, SKT, LGU+ 모두 같은 망을 쓴다.
대략적인 요금제를 보면 아래와 같다.
SK텔레콤 공식 온라인샵 | T 다이렉트샵 (tworld.co.kr)
알뜰폰 요금제에는 이미 esim 서비스가 많이 있다.
알뜰폰은 저렴한 요금제가 많이 나오므로
통신사 할인, 맴버십 혜택을 별로 받지 않는 사람은 이동하는게 좋다.
이동통신 3사의 esim요금제는 아직까지 엄청 활성화 되지 않은 추세이다.
뒤늦게 하나씩 생기고 있지만, 아직까진 더디다.
앞으로 esim을 활용해 더 다양한 요금제를 출시하지 않을까 생각이된다.
2023년 esim 사용가능폰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모바일, 태블릿, IT 기기 팁 > eSIM(e심, 이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esim 가능폰 기종 및 단말기 총 정리! (esim 갤럭시, 아이폰 esim 확인 방법) (6) | 2023.07.26 |
---|---|
e심 이란? e심 이용 꿀팁 및 SKT eSIM 요금제, KT eSIM 요금제 정리 (4) | 2023.07.25 |